티스토리 뷰

Health Story

홍역 증상

Fun & Joy 2018. 7. 12. 15:22
반응형

홍역은 전염력이 매우 높은 감염 질환이라고 합니다. 유행이 될 수 있는 질환으로 바이러스에 의해서 감염이 된다고 합니다. 그리고 홍역은 한번 걸린 후 회복되면 평생 면역을 얻게 되어 다시 걸리지 않게 됩니다. 예전에는 흔히 발생하는 질환이었으나 예방접종을 함으로써 급격히 감소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가끔 뉴스를 보면 홍역 가끔 퍼지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아직까지 근절되지는 않는 질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대도시에는 약 3년마다 봄철에 유행하고 있습니다. 예방접종이 나오기 전에는 어린이들에서 호발 하였으나 최근에는 10대나 젊은 연령층에서도 발생한다고 합니다. 그러면 오늘은 홍역의 원인과 증상 및 치료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홍역 원인 ◀


홍역은 홍역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으로 발생하며 전염성이 강하여 감수성이 있는 접촉자의 90%이상이 발병하게 된다고 합니다. 과거에는 봄과 가을에 창궐하는 대표적이고 위험한 전염병이었지만, 요즘에는 계절을 가리지 않고 일시적으로 유행하는 식으로 발생한다고 합니다. 홍역은 대체로 감염된 환자와 직접 접촉이나 비인두 분비물에 오염된 물품의 매개로 전파된다고 하는데요, 위험한 것은 드물게 공기를 통해서도 전염이 될 수 있다고도 알려져 있습니다. 

 

▶ 홍역 증상


홍역의 증상에 대해서 알아보면, 우선 홍역의 증상은 홍역에 걸린 누군가와 접촉 후 약 8~12일 후에 시작되는데 첫 번째 홍역 증상들은 기침과 콧물, 코막힘, 몸살, 눈충혈, 고열 등의 증상들이 발생하게 된다고 합니다. 이후 2~4일 안에는 입 안에 코플릭반점이라고 불리는 붉은 바탕에 푸른빛을 띠는 흰색 또는 회색 반점이 나타나게 됩니다. 홍역 증상 다음은 발진으로 대부분 가렵지 않은 분홍색의 반점이 생기게 되는데 목, 몸통, 팔과 다리, 손바닥과 발바닥 순으로 내려가면서 퍼지게 되는 증상이 나타난다고 합니다. 이밖에도 간혹 홍역 증상으로 림프절이 커지거나 설사와 구토를 하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홍역의 전염성을 보면, 홍역은 전염성이 매우 높은 감염질환으로 분류되므로 사람에서 사람으로 전염이 매우 쉽게 된다고 합니다. 홍역 바이러스는 주로 코, 기관지, 폐를 침범하는데 일단 몸에 들어오면 다른 신체 기관으로 퍼지게 된다고 합니다. 그리고 홍역의 전염 가능시기는 홍역에 걸린 사람이 증상이 발생하기 1~2일 전인 발진이 나타나기 3~5일 전부터 발진이 나타난 후 4일까지가 바이러스를 전파하는 전염시기로 볼 수 있습니다. 





▶ 홍역 치료방법 ◀


홍역은 특별한 치료법이 없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건강한 사람에서는 휴식, 기관지를 진정시키고 기침을 완화시키기 위한 찬 가습기, 열을 내리고 불쾌감을 덜기 위한 타이레놀 등으로 증상을 치료할 수 있다고 합니다. 또한 홍역으로 인한 합병증으로 치료를 할 경우 고용량의 비타민A를 처방하기도 한다고 알려져 있답니다. 홍역 예방접종 방법은 생후 12~15개월과 4~6세에 실시하게 되는데, 예방접종을 하지 못한 소아가 환자와 접촉한 경우 아이의 연령, 면역 상태에 따라서 면역 글로불린을 맞거나 백신을 접종해야 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해당 시기에 예방접종을 받지 않았거나 항체가 없는 성인이라면 적어도 1회의 MMR 예방주사를 맞아야 한다고 합니다. 성인도 접종하게 되는 홍역 예방접종인 MMR은 홍역과 유행성이하선염인 볼거리와 풍진에 대한 백신이라고 합니다. 



2018/06/30 - [Health Story] - 춘곤증 증상

2018/07/01 - [Health Story] - 손목결절종 증상

2018/07/01 - [Health Story] - 폭식증 증상

2018/07/01 - [Health Story] - 불면증 증상

2018/07/01 - [Health Story] - 빈혈 증상

2018/07/01 - [Health Story] - 유행성 이하선염 증상

2018/07/01 - [Health Story] - 이상지질혈증 증상

2018/07/01 - [Health Story] - 하지정맥류 증상

2018/07/09 - [Health Story] - 무지외반증 증상

2018/07/10 - [Health Story] - 지방간 증상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