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Health Story

협심증 증상

Fun & Joy 2018. 6. 12. 04:00
반응형

한국인의 사망원인 3위는 협심증과 심근경색증이라고 합니다. 그 만큼 위험한 질병이라고 할수 있는데요, 심장질환은 증상 없이 갑자기 나타나는 경우가 있는데 그런것이 더 무섭습니다. 심하면 사망까지 이어지는 심장질환 항상 주의해야 합니다. 주변에 누군가가 가슴을 부여잡고 숨을 잘 못쉰다던지 혹은 힘들어하는 사람이 있다면 의심해볼 만한 질환이 있습니다. 물론 다양하겠지만 오늘 알아볼것은 협심증입니다. 협심증은 무엇이며 원인과 증상 및 치료법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협심증의 정의 ##


협심증이란 관상동맥 질환에 의한 흉부의 통증이나 불편감을 일컫는 의학적 용어로 심장근육의 허혈에 의해 발생하는 증상을 말합니다. 여기서 심근 허열이란 심장의 근육이 필요로 하는 만큼의 혈액과 산소 공급을 받지 못하는 경우를 가리킵니다. 즉 관상동맥의 폐쇄나 협착에 의해 심장근육에 충분한 혈액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아 생기는 흉부의 통증을 말한다고 합니다. 심장에서 근육을 지키고 있는 관상동맥이라고 하는 부분에 정상적이지 않은 문제점이 발생하여 일시적으로 경련이 생기게 되면 동맥의 관이 좁게 되어서 점점 막히게 됩니다. 그로 인하여 심장의 근육부분으로 공급을 하던 혈액이나 산소 등의 전체적인 양이 감소가 일어나 생겨난 질환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 협심증의 증상 ##


협심증 초기증상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협심증은 관상동맥이 플라크라는 끈적끈적한 물질 때문에 폐쇄되거나 좁아져서 심장근육에 혈액공급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때 발생하는 질환으로 대표적인 증상은 흉부 중앙의 압박감이라고 하는데요, 흔히 협심증 초기증상을 소화불량과 혼동하기 쉬운데, 이는 협심증이 발생하면 가슴 중앙이 압박감이 들면서 소화가 안되는 것처럼 가슴이 꽉 찬 느낌 및 가슴을 쥐어짜는 느낌 등이 일반적인 협심증 초기증상들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나타나는 흉통의 경우는 보통 짧게는 1~2분에서 15분 이내로 발생하며 안정을 취하면 서서히 가라앉는데, 혹 통증이 턱이나 팔, 어깨 등으로 퍼지기도 하고 호흡곤란을 느낄 수도 있다고 합니다.





## 협심증의 치료법 ##


협심증 치료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환자의 상태에 따라서 약물치료, 시술 및 수술 등의 치료방법이 시행된다고 합니다. 우선 약물을 이용하는 협심증의 약물치료방법의 경우는 협심증의 원인이 되는 동맥경화증의 예방과 진행을 막는 치료법이며 협심증에 의한 혈관이 79%이상 좁아져 시술이나 수술이 필요하다면 풍선확장술, 스텐트시슬 및 관상동맥우회로술 등의 수술을 하게 된다고 합니다. 

 

사실 협심증의 치료방법인 약물치료와 시술 및 수술이 중요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고혈압이나 당뇨병 또는 고지혈증 등의 위험인자가 있는 경우라면 평소 협심증을 예방하기 위한 생활습관 개선 및 금연 등을 통해서 심혈관질환을 예방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합니다.  



2018/06/10 - [Health Story] - 개불 효능

2018/06/07 - [Health Story] - 동충하초 효능

2018/06/08 - [Health Story] - 봉삼 효능

2018/06/05 - [Health Story] - 흑미 효능

2018/06/06 - [Health Story] - 하늘수박 효능

2018/06/04 - [Health Story] - 해죽순 효능

2018/06/04 - [Health Story] - 고구마순 효능

2018/06/02 - [Health Story] - 우뭇가사리 효능

2018/06/02 - [Health Story] - 밀싹 효능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