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Health Story

자궁경부암 증상

Fun & Joy 2018. 6. 26. 19:30
반응형

여성암중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자궁경부암은 많은 여성분들이 두려워하는 암 중 하나입니다. 자궁경부암의 전단계인 자궁경부 이형성증에서 상피내암(자궁경부암 0기)으로 진행되기까지는 약 7년 정도가 걸리고 이보다 더 악화되는 미세침윤성암으로 진행되기까지는 약 14년 정도의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다른 암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시간적 여유가 많아 조기발견이 가능한 편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조기에 치료를 한다면 완치율이 높은 편에 속하기 때문에 지속적인 검진을 통해서 예방을 할 수 있다고 합니다. 그러면 자궁경부암의 원인과 증상 및 치료법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자궁경부암 원인 ◑


인유두종 바이러스성 접촉에 의한 인유두종 바이러스 감염이 주된 원인이며, 자궁경부암 환자의 99.7%이상에서 고위험 인유두종 바이러스 감염이 발견된다고 보고 된다고 합니다. 그리고 20세 이전에는 발병이 드물고, 30세 이후부터 발병률이 증가하기 시작하여 50대에 정점에 이른다고 합니다. 그리고 그 이후에는 연령에 관계없이 발병률이 거의 일정하게 유지된다고 합니다. 또한 비위생적 환경, 빈약한 의료시설, 무질서한 생활 양식 등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고 하며 16세 이전의 조기 성 경험자, 성교 대상자가 많은 여성, 아이를 많이 낳은 경험 등이 발병 위험 요인으로 작용한다네요. 그리고 흡연 기간이 길수록, 흡연량이 많을수록 위험률이 높아진다고 하고 성병을 가지고 있거나 면역 기능이 저하된 여성, 정기 검진을 받지 않은 여성, 비타민 A, 비타민 C, 엽산 등 일부 영양소 결핍, 비만인 여성이 위험률이 높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자궁경부암 증상 ◑


사실 자궁경부암에 걸렸더라도 초기에는 아무런 증상이 없다고 하는데요, 그렇기 때문에 정기적인 검사와 진찰이 필수적인 이유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자궁경부암이 진행된다면 성관계 후 출혈이나 월경 이외의 비정상적인 출혈, 악취가 나는 분비물 또는 출혈성 분비물, 배뇨곤란, 아랫배와 다리의 통증 등이 나타난다고 합니다 .자궁경부암의 첫 증상은 주로 출혈이지만, 처음에는 약간 묻어 나오는 정도이지만 암이 진행되면서 점차 그 양이 증가되며 빈혈이 생기기도 합니다.  병이 진행되면 괴사 및 2차 감염이 생기거나 악취가 동반될 수 있고 병변이 자궁경부를 벗어나 주변장기인 직장이나 방광, 요관, 골반벽 등으로 침범할 경우에는 배뇨곤란, 혈뇨, 신부전, 직장 출혈, 질 직장 누공, 부종, 허리 및 하지 통증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고 합니다.





◐ 자궁경부암 치료방법 ◑


자궁경부암 병기는 1기에서 4기까지 분류되어 있고, 각 병기에 따른 치료 원칙이 정해져 있다고 하는데요, 1기에서 2기 초에는 수술이나 동시화학방사선요법이 모두 가능하고, 2기 말 보다 더 진행된 암에 대해서는 동시화학방사선요법이 시행된다고 합니다. 그리고 자궁경부암의 수술은 완치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제거되는 조직은 자궁과 자궁방조직(자궁옆조직), 골반림프절이 해당된다고 하는데요, 수술후 병리 검사의 결과에 따라 보조적인 치료법으로 항암제 투여와 방사선 치료를 동시에 시행하는 화학방사선요법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자궁경부암은 치료 후 5년 생존율은 1기 초의 경우 100%가능하지만, 1기 말은 80~90%, 2기 초는 70~80%, 2기 말은 60~65%, 3기는 35~45% 정도라고 하네요.  4기에 암이 발견되는 경우에는 치료에도 불구하고 5년 생존율이 15% 정도라고 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자궁경부암 예방접종


자궁경부암은 미리 예방할 수 있는 몇 안되는 암이라고 합니다. 자궁경부암을 일으키는 가장 중요한 원인인 HPV를 막을 수 있는 백신이 개발되었기 때문입니다. 현재 자궁경부암 예방접종 백신은 두 종류가 개발되어 있어서, 자궁경부암을 일으키는 주요 HPV인 16형,18형에 대한 항체를 생기게 하여 70%의 예방효과를 나타낸다고 합니다. 자궁경부암의 예방접종 권장시기는 15~17세로 성경험 연령을 20세로 가정할 때 충분한 항체 형성을 위해 2~3년 전에 접종하는 것이 좋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자궁경부암 예방접종은 어릴수록 항체 형성 능력도 뛰어나며 성경험이 있는 여성도 맞는게 좋고 45세의 여성까지 예방접종 백신을 권장한다고 합니다.



2018/06/26 - [Health Story] - 심근경색 전조 증상

2018/06/24 - [Health Story] - 화병 증상

2018/06/21 - [Health Story] - 당뇨병 증상

2018/06/24 - [Health Story] - 탈장 증상

2018/06/19 - [Health Story] - 골반염 증상

2018/06/21 - [Health Story] - 가와사키병 증상

2018/06/20 - [Health Story] - 폐렴 증상

2018/06/20 - [Health Story] - 오이 효능

2018/06/20 - [Health Story] - 애기똥풀 효능

2018/06/20 - [Health Story] - 백내장 증상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