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Health Story

화병 증상

Fun & Joy 2018. 6. 24. 15:00
반응형

화병은 울화병의 줄임말로 억울함과 분한 감정이 해소되지 못하고 화로 분출되는 병을 말합니다. 미국신경정신의학회에서 문화 관련 증후군의 하나로 등재된 단어로, 한국인에게 많은 특이한 신경질환으로 스트레스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정신의학적으로는 분노 증후군 또는 분노 장애로 설명됩니다. 화병은 전통적으로 우리나라 민간에서 사용되는 병명으로 억울한 일을 당했거나 한스러운 일을 겪으며 쌓인 화를 삭이지 못해 몸과 마음의 여러 가지 고통을 갖게 되는 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화병의 원인과 증상 및 치료법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화병 원인 ◀


화병 원인을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화병은 우울증과 마찬가지로 주변 환경으로부터 오는 스트레스가 그 원인이 되지만, 질병의 발생이나 증상의 출현에 우리나라 특유의 문화적인 배경이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스트레스로 인해 우울 증상이 발생하는 반면 분노와 같은 감정이 사회적으로 용납되지 않기 때문에 환자가 스스로 감정을 억누르고 내면화하게 되면서 억압한 감정이 신체 증상으로 나타나게 되는 것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 화병 증상 ◀


스트레스 등으로 화병이 생기면 가장 먼저 정신적인 화병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사소한 일에도 짜증이 나고 예민한 상태가 되며, 분노와 화를 참지 못하는 공격적인 성향이 강해지는 특징을 보이게 되는데요. 또한 이유 없는 한숨이 나오거나 심한 우울감을 느끼게 되기도 하며 숙면에 어려움을 느꼈거나 심한 무기력감, 권태감, 자신이 쓸모없다고 느껴지는 증상들이 나타나게 됩니다. 그리고 화병의 특이한 점은 우리가 일상적으로 알고 있는 우울증과 달리 화로 인한 신체 증상이 함께 나타난다는 점입니다. 온몸에 열이 나고 얼굴이 화끈거리며, 목이나 가슴이 조여 답답함을 호소하기도 하며 가슴에 뜨거운 무언가가 느껴지거나 숨을 쉬기 어렵다고 호소하기도 하며 명치에 무언가 울컥하고 걸린 느낌이 나타난다고 화병 증상을 설명하기도 하는데요. 이밖에도 식욕 장애나 소화 장애를 겪기도 하며, 심하면 만성적 분노로 고혈압이나 중풍 등 심혈관계 질환도 발생하기도 한다고 합니다.





▶ 화병 치료방법 ◀


일단 화병은 치료할 수 있다고 하는데요, 약물치료나 정신 치료를 통해서 화병을 치료할 수 있다고 합니다. 화병에 대한 약물 치료방법은 항우울제가 주로 사용되며 뇌세포의 연결 부위인 시냅스에서 세로토닌의 재흡수를 차단하기 위해서 약물들을 사용하는 것으로, 치료 효과는 복용 2~3주 후 나타나게 된다고 합니다. 

 

그리고 화병의 약물치료에서 중요한 것은 증상이 호전되더라도 재발을 막기 위해서 수개월 이상 치료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겁니다. 또한 화병 정신치료의 경우는 증상 자체를 조절한다기보다는 환자가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방식이나 대인관계, 성격 등의 변화를 통한 문제 해결을 추구하는 치료법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2018/06/21 - [Health Story] - 당뇨병 증상

2018/06/21 - [Health Story] - A형간염 증상

2018/06/22 - [Health Story] - 유방암 증상

2018/06/22 - [Health Story] - 결막염 증상

2018/06/22 - [Health Story] - 은행 효능

2018/06/16 - [Health Story] - 외이도염 증상

2018/06/16 - [Health Story] - 냉방병 증상

2018/06/16 - [Health Story] - 허리디스크 증상

2018/06/16 - [Health Story] - 백일해 증상

2018/06/24 - [Health Story] - 탈장 증상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