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Health Story

중증근무력증 증상

Fun & Joy 2018. 6. 20. 03:30
반응형

중증근무력증이란 근육막에 있는 신경전달물질을 담는 수용체가 자가면역질환으로 파괴되어 신경말단부 위에서 분비되는 신경전달 물질이 근육막에 충분히 전달되지 못하여 생기는 후천적 질환을 말한다고 합니다. 우리 몸에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물질이 항원으로 작용하여 여기에 대한 항체가 발생함으로 인해 병이 생기면 항체 매개 자가면역질환이라고 합니다. 중증근무력증은 신경 근육결합부의 기능장애에 의해 발병함으로, 근육의 종판에 존재하는 아세틸콜린 수용체에 대한 비정상적인 자가항체가 형성됨으로 인해 신경으로부터의 신호가 전달되지 못해 나타나는 질병이라고도 합니다. 그러면 중증근무력증의 원인과 증상 및 치료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중증근무력증 원인 ◈


근무력증 원인에 대하여 알아보면, 일단 수용체의 감소와 변형으로 신경 말단에서 분비되는 신경전달 물질이 효율적으로 근육에 전달되지 않으면 힘을 잘 쓸 수 없게 되는 것으로 그 원인을 보면 감기를 심하게 앓았거나 오랫동안 스트레스가 누적된 상태일 때, 또는 항암제 등으로 인한 면역력 감소, 선천적 원인 등이 있을 수 있다고 합니다. 이러한 근무력증의 원인은 모든 사람에게 똑같은 확률로 생기는 것이 아니고 질환을 유발하는 소인이 있는 사람에게 많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중증근무력증 증상 ◈


초기증상으로는 물체가 둘로 보이거나 눈꺼풀이 처지는 증상이 생기면서 사레가 들고 비음이 증가하고 말소리도 약해지며 음식을 삼키고 씹기가 힘들고 심한 경우 턱을 손으로 받쳐야만 하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그뿐만 아니라 증상이 진행되면서 숨쉬기가 불편할 정도로 횡격막 근육의 무력증이 생겨 인공호흡기가 필요한 응급 상황까지도 올 수 있다고 합니다. 근무력증 증상으로 인해 팔다리 및 목의 힘도 약해지는 전신 근무력증과 함께 육체적 정신적 피로, 폐렴이나 감염 등의 스트레스로 인하여 갑자기 근무력증 증상이 심해지면서 숨도 쉴 수 없는 응급상황으로 변하게 된다고 합니다. 근무력증 증상이란 신경전달 물질이 근육 수용체에 효과적으로 전달되지 못하기 때문에 팔, 다리, 목 근육 및 안구 운동을 담당하는 근육이 많이 사용할 경우 쉽게 피로해지고 힘이 없어지는 증상을 보이는 것으로 충분한 휴식을 취하게 되면 다시 힘이 생기지만 계속 운동이나 활동을 할 경우 몇 분 내에 무력해지는 특징을 보인다고 합니다. 





◈ 중증근무력증 진단방법 ◈


중증근무력증을 치료하기 전 먼저 진단이 필요합니다. 진단하기 위해 주로 항체검사, 전기진단검사, 약물 반응 검사를 시행하게 됩니다. 항체검사는 혈액검사를 통하여 아세틸콜린 수용체에 대한 자가항체가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전기진단검사는 질병의 전기생리학적 이상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중증근무력증에서는 반복신경자극검사와 단일 섬유근 전도검사가 시행됩니다. 반복신경자극검사는 기술적으로는 비교적 쉽지만 진단적 감수성이 높지 않기 때문에 이 검사에서 음성이라고 하여도 중증근무력증이 아니라고 할 수는 없으며, 단일섬유근전도검사는 침을 이용하는 검사이므로 통증이 있고 검사에 걸리는 시간이 많아 반복신경자극검사보다는 정확하지만 덜 이용되는 방법이라고 합니다. 

 

◈ 중증근무력증 치료방법 ◈


중증근무력증 증상의 경우 환자 중에는 3년 이내에 저절로 치유되는 사람도 간혹 있는데 주로 젊은 여자나 10세 미만의 어린이, 전신 근무력증보다는 눈 근무력증 환자에게 주로 있는 일이지만 대부분의 근무력증 증상의 경우는 흉선 제거 수술 또는 혈액투석 치료를 받는 근무력증 치료법이 적용된다고 합니다. 근무력증의 약물치료의 경우는 신경전달 물질인 아세틸콜린이 분해되는 것을 방해하는 메스 티논 등의 억제제를 복용하거나 흉선 제거 수술 등의 수술요법으로 근무력증을 치료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2018/06/20 - [Health Story] - 기면증 증상

2018/06/16 - [Health Story] - 백일해 증상

2018/06/14 - [Health Story] - 노로바이러스 증상

2018/06/16 - [Health Story] - 허리디스크 증상

2018/06/12 - [Health Story] - 부정맥 증상

2018/06/10 - [Health Story] - 호박잎 효능

2018/06/08 - [Health Story] - 도꼬마리 효능

2018/06/08 - [Health Story] - 갈치 효능

2018/06/08 - [Health Story] - 꼬시래기 효능

2018/06/08 - [Health Story] - 감태 효능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