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Health Story

조울증 증상

Fun & Joy 2018. 6. 19. 23:30
반응형

조울증이란 갑자기 기분이 좋아지면서 들뜨는 기분에 웃음이 나오는 등에 반응을 보이는 조증과 한 순간에 기분이 가라앉고 아무것도 하기 싫은 허무한 감정 등을 느끼는 우울증의 증상을 모두 보이는 양극성 기분 장애 질환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쉽게 말하면 감정의 기복의 주기가 짧아 상황을 떠나 자신의 심리적 상태에 중점을 두고 기분이 변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자신 스스로가 의심 하면서도 인정하기가 힘든 질환이기 때문에 점점 심해지는 경우가 많다고 하는데요, 그러면 조울증의 원인과 증상 및 치료법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조울증 원인


아직 조울증의 주원인은 확실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스트레스나 생활환경의 변화, 불규칙한 생활 리듬으로 뇌쪽으로 정보전달이 엉망이 되고 몇 개의 유전자 조합으로 발병하는 유전적 요소, 발병 전의 성격 등 여러가가지 요소가 복잡하게 관계되어 있다고 하는데요, 부모중 한쪽이 양극성장애였던 경우 자녀가 조울증이 될 확률은 25%, 부모 모두가 양극성 장애였던 경우 자녀가 조울증이 될 확률은 50~75%라고 합니다. 그리고 스트레스로 인한 것이 있지만 원래 유전적 요인이 있는 사람이 스트레스를 심하게 받았을 때, 명확하게 아주 심한 스트레스가 있어 발병하는 경우가 많지만, 일반적인 스트레스만으로 이 질환을 일으키는 경우는 아주 드물다고 합니다. 그리고 양극성 장애의 가족이 환자 본인에게 비판, 적의, 정서적으로 너무 관여되어 있는 등의 높은 감정표출이 있으면 조울증의 재발률이 4~5배 높아진다고도 알려져 있습니다.

 

【 조울증 증상 】


조울증 환자는 지키지 못할 만큼 무리한 계획을 세울 뿐만 아니라 자신만만하고 자신의 그러한 계획이 이행되지 못한 경우에는 과민하게 변하기도 한답니다. 대체로 기분이 좋지만 사소한 일에 분노를 일으키거나 과격한 행동을 하기도 하며 초기에 조울증 환자들은 행복감에 사로잡혔다가도 시간이 지날수록 과민하게 반응하기도 합니다. 도박을 하기도 하거나 공공장소에 어울리지 않는 옷차림을 한다거나 일탈된 행동을 하는 양상이 조울증 환자에게 나타나기도 합니다. 조울증 증상이 있는 환자들은 자기의 충돌을 조절하는데도 문제가 있기에 본인이나 타인에게도 해를 끼치기도 하므로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등의 피해 사고에 과도하게 집착하기도 하며 복잡한 망상으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조울증 환자들에게는 환각이 나타나기도 하고 대게 흥분되어있거나 말을 많이 하는 경우가 많은 편이고 과잉행동을 하는데 이러한 행동의 정도가 심해지면 자신의 질환에 대해 잘 알지 못하기 때문에 강제적 입원이 필요 할수도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우울기에 접어들면 무기력감, 절망감, 초조함을 느끼면서 미래에 대하여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잔걱정이 많아지는데, 이전에 해왔던 일들을 수많은 걱정으로 인하여 하지 못하는 경우가 오면서 아무 일도 할 수 없는 것처럼 느끼기도 하고 주변인들이 자신을 비웃거나 놀린다고 생각하며 자존감이 많이 낮아진 상태를 보이며 이해력과 판단력이 감소하는데, 이것이 심해지면 피해망상이 오기도 하므로 조울증 환자들은 유심히 살펴보아야 합니다.





【 조울증 치료방법 】


조울증의 완치 사례는 많이 있다고 합니다. 조울증 완치를 위한 치료법을 본다면, 모든 정신질환의 치료가 그렇듯이 조울증의 치료도 크게 약물치료와 정신치료로 나눌 수 있어서, 특히 조증의 약물치료에 가장 흔히 사용되는 것은 리튬으로 뇌내 여러 신경전달물질의 균형을 이루도록 조절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리튬은 치료 환자의 70%에서 좋은 효과를 보인다고 하고, 정신치료를 병행해야 하는데 이는 재발을 초래하고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생활 사건이나 스트레스 요인을 인식하게 도와주는 치료법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 조울증 자가진단법 】


조울증으로 자가진단할 수 있는 조건으로는 다음의 내용 중 7가지 이상에 해당한다면 조울증 증상으로 여길 수 있어서, 먼저 주의가 산만해 하나에 집중하기 어렵고, 말이 많아지고 말이 빨라지며, 식욕이 별로 없으며, 누워도 잠이 잘 안 오고, 몸이 힘이 나지 않고 무기력하며, 작은 일에도 갑자기 기분이 확 좋아지고 주체할 수 없는 기분으로 소리 지르거나 머릿속이 정리되지 않고 복잡하며, 성적인 욕구가 계속 생기며, 별 생각 없이 아무 일이나 벌이는 등의 행동들 중 내가 해당한다면 조울증으로 판단할 수 있다고 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18/06/19 - [Health Story] - 골반염 증상

2018/06/19 - [Health Story] - 척추협착증 증상

2018/06/16 - [Health Story] - 냉방병 증상

2018/06/14 - [Health Story] - 대장암 증상

2018/06/16 - [Health Story] - 외이도염 증상

2018/06/12 - [Health Story] - 생리전 증후군 증상

2018/06/14 - [Health Story] - 결핵 증상

2018/06/12 - [Health Story] - 패혈증 증상

2018/06/12 - [Health Story] - 협심증 증상

2018/06/12 - [Health Story] - 질염 증상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