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Health Story

일본뇌염 증상

Fun & Joy 2018. 6. 30. 15:30
반응형

일본뇌염이란 일본뇌염 바이러스에 감염된 작은 빨간 집모기가 사람을 무는 과정에서 인체에 감염되어 발생하는 급성 바이러스성 전염병으로 증상은 급격하게 나타나는데 초기에는 고열과 두통, 무기력 또는 흥분상태 등이 나타나고 진행되면서 중추 신경계가 감염되어 의식장애 및 경련과 혼수 증상이 나타나 사망에도 이를 수 있다고 하는데요, 그러면 일본뇌염의 원인과 증상 및 치료법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일본뇌염 원인 ▣


일본뇌염 증상이 생기는 원인을 알아보면, 위에서 말씀드렸듯이 우선 일본뇌염 감염 증상이란 작은 빨간집 모기가 원인이 되어 전파되는 것이랍니다. 이 모기가 일본뇌염 바이러스에 감염된 야생 조류나 일부 포유류의 피를 빨아 먹는 과정에서 바이러스에 감염되고 이 모기가 다시 사람을 무는 과정에서 일본뇌염 바이러스가 인체 내에 침투하여 감염을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일본뇌염 증상 ▣


일본뇌염 증상에 대해서 알아보자면, 일본뇌염은 급성 바이러스성 전염병으로 증상은 급격하게 나타나는데 초기에는 고열, 두통, 무기력 또는 흥분상태가 나타나는 것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일본뇌염 바이러스에 감염되더라도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모기에 물린 후 2주 이내의 잠복기를 거쳐 증상이 나타나게 되는데, 갑작스런 고열과 두통, 현기증, 구토, 복통 및 지각 이상 증세를 보이게 된다고 합니다. 문제는 일본뇌염 증상이 진행되면서 의식장애와 경련, 혼수에 이르게 되고 대개 발병 10일 이내에 사망하게 된다고 합니다. 만약 경과가 좋은 경우라면 약 1주를 전후로 열이 내리면서 회복되기도 한다고 합니다.





▣ 일본뇌염 치료방법 ▣


일본뇌염은 바이러스를 가진 모기에 물려서 걸리는 질환으로 치사율은 30%에 이른다고 하는데 특별한 치료방법이 없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래서 이러한 일본뇌염을 예방하기 위해서 가장 좋은 방법은 예방을 잘 하는것으로 예방법은 예방백신을 맞는것이라고 합니다. 

 

최근 일본뇌염 환자의 발생이 감소한 것은 일본뇌염 바이러스 매개 모기의 감소나 치료약이 있어서가 아니라 예방접종 때문이라고 하는데요, 일본뇌염 예방접종 시기를 보게 되면, 만 1~12세의 소아에게 접종을 하게 된다고 합니다. 생후 12~24개월 기간 중 1~2주일 간격으로 2회 접종하고 2차 접종 12개월 후 3차 접종을 실시하여 기초접종을 완료한다고 합니다.



2018/06/30 - [Health Story] -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

2018/06/30 - [Health Story] - 슬개골 연골연화증 증상

2018/06/15 - [Health Story] - 만성 기관지염 증상

2018/06/15 - [Health Story] - 골육종 증상

2018/06/15 - [Health Story] - 통풍 증상

2018/06/15 - [Health Story] - 후두암 증상

2018/06/12 - [Health Story] - 조현병 증상

2018/06/13 - [Health Story] - 류마티스 관절염 증상

2018/06/30 - [Health Story] - 심근염 증상


반응형
댓글